우리가 참 아끼던 사람 - 김승희 외 지음, 호원숙 엮음/달 |
당신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면
사랑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들을 수 있어요
2016년 1월 22일은, 박완서 선생님께서 우리 곁을 떠난 지 5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소식을 전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아마도 “벌써 그렇게 되었어?” 하며 놀랄지 모릅니다. 그만큼 선생님의 부재(不在)가 주는 허전함은 크지 않았던 탓이지요. 선생님은 ‘여기’ 계시지 않지만, 선생님의 흔적은 ‘여기’ 있기 때문입니다. 선생님은 ‘여기’ 계시지 않지만, 대신 ‘거기’ 계실 것이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이건 비단 저만의 사정은 아닐 겁니다.
그래도 뵙고 싶은 마음만큼은 어쩌질 못하여, 선생님께서 이곳에 계실 때 남기신 말씀을 한데 묶었습니다. 그동안 선생님의 후배 문인들이나 문학평론가들이 선생님을 찾아뵙고 나눈 대화의 결과는 참 많았습니다. 그 많은 기록 중에서 우리는, 서강대학교 국문과 김승희 교수, 서울문화재단 조선희 대표이사, 장석남 시인, 최재봉 한겨레 선임기자, 김연수 소설가, 정이현 소설가, 씨네21 김혜리 편집위원, 신형철 문학평론가, 박혜경 문학평론가, 이렇게 9명이 진행했던 대담을 추렸고, 5주기에 부치는 이병률 시인의 새 글을 보태었습니다.
그리하여, 1980년부터 2010년까지, 박완서 선생님의 30년이 여기에 모였습니다. 1980년이면 『나목』으로 문단에 데뷔하신 지 정확히 10년이 지났을 때이고, 2010년이면 영면에 드시기 꼭 한 해 전입니다. 그 짧지 않은 세월 동안 박완서 선생님은, 첫째 따님께서 이 대담집을 엮으며 하셨던 말씀처럼 ‘변함이 없었지만 지루하지 않았고, 끊임없이 변화했지만 요란하지 않’(7쪽)은 모습이셨습니다. 거기에 5주기에 헌정하는 글까지 보태어졌으니, 이 한 권의 책만으로도 선생님을 우리 역시 여러 번 만나고 온 것에 다름이 아닐 겁니다.
박완서 선생님은 6.25를 몸소 겪어내고 또 그 이후 가족을 잃는 상처와 아픔을 딛고 『미망』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미망』을 비롯하여 수많은 작품을 탄생시켰음을 모르는 바 아닙니다. 그 엄숙하고 거룩함이야 거듭 말해 무엇할까요. 다만 이번 대담집을 통해, 다소 생경하지만 아름다운 우리말 어휘의 사용(135쪽), 어디 하나 걸림이 없이 매끈하게 읽히는 문장의 맛(137쪽), 결핍감으로부터 생겨난 문학적 상상력(191쪽) 등 소설의 깊숙한 부분에 대해 육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그뿐 아닙니다. 새로 개봉하는 영화를 찾아서 보거나(138쪽) 손녀딸을 얼러 재우며(31쪽), 또 무작정 집 앞을 찾아온 독자마저도 살뜰히 챙기고(119쪽), 살구를 따다 잼을 만들어 주변에 나누는(207쪽) 등 소소한 일상의 모습까지 모두 고스란히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선생님은, 사람다움을 짓밟는 힘에 맞서 갖춰야 할 부끄러움과 오기(21쪽), 여성으로서 느껴야 할 한계는 없다는 선구자적인 생각(26쪽), 그러면서도 집안일과 소설 쓰기를 잘 병행하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 것에 대한 불편한 지적(134쪽), 늘 새로운 것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대하는 태도(43쪽), 세대를 넘나들어 모든 동시대인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마음(166쪽) 등을 이야기함으로써, 우리에게 선생님이라는 인생의 나침반이 계시다는 기쁨과 동시에 어머니처럼 포근하게 감싸안아주는 위로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는 선생님을 흔히 ‘한국문학의 어머니’라 부르기도 하지만, 그런 선생님의 어머니 역시 훌륭하신 분이셨을 것임이 틀림없습니다. 다른 아낙들의 연애편지를 대필해주실 정도로 이야기를 좋아하며 따뜻한 휴머니즘이 있고(82쪽), 강인하고 현명하셨던(209쪽) 선생님의 어머니. 이를 통해 선생님 또한 한 가정에서도 얼마나 훌륭한 어머니였을지는 얼핏이나마 짐작하고도 남습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선생님과 우리는 동시대를 통과했기도 하고 아니기도 합니다. 적지 않은 시간을 함께 지나왔지만, 가늠조차 할 수 없는 커다란 역사를 선생님은 통과했으며, 작금의 어지러운 속도의 세상에 우리는 선생님 없이 당도해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당대를 똑똑히 바라보고 기록하고 작은 실바람을 만들어내셨던 것처럼, 우리도 더 눈을 똥그랗게 뜨고 우리에게 주어진 당대를 또 열심히 바라보아야겠습니다. 그것이 선생님과 우리가 떨어져 있는, ‘여기’와 ‘거기’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길이라 믿기 때문입니다.
제목 『우리가 참 아끼던 사람』에서 말하는 ‘우리’는 이들 10명의 필진이기도 하지만, 선생님을 기억하고 추억하는 모두이기도 합니다. 선생님께서 생전에 종종 말씀하셨던 “죽는 날까지 현역 작가로 남고 싶다”는 소망을 자주 기억합니다. 선생님의 소설은 곧 선생님이어서, 이 한마디가 이토록 가슴에 맺혀 있습니다. 선생님이 ‘거기’로 건너가신 지 5년이 되었지만, 감히 말씀드리건대 선생님은 영원한 현역 작가입니다. 선생님을 향해, 제가 가진 두 개의 엄지를 모두 치켜올려보고 싶어요. 오늘만큼은요.
박완서
1931년 경기도 개풍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대 국문과 재학중 한국전쟁을 겪고 학업을 중단했다. 1970년 불혹의 나이에 『나목裸木』으로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에 당선되어 문단에 나온 이래 2011년 영면에 들기까지 40여 년간 수많은 걸작들을 선보였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배반의 여름』 『엄마의 말뚝』 『미망』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친절한 복희씨』 『기나긴 하루』 등 다수의 작품이 있으며, 한국문학작가상, 이상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이산문학상, 중앙문화대상, 현대문학상, 동인문학상, 한무숙문학상, 대산문학상, 만해문학상, 인촌상, 황순원문학상, 호암상 등을 수상했다. 2006년 서울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1월 22일 별세한 후 문학적 업적을 기려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사랑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들을 수 있어요
2016년 1월 22일은, 박완서 선생님께서 우리 곁을 떠난 지 5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소식을 전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아마도 “벌써 그렇게 되었어?” 하며 놀랄지 모릅니다. 그만큼 선생님의 부재(不在)가 주는 허전함은 크지 않았던 탓이지요. 선생님은 ‘여기’ 계시지 않지만, 선생님의 흔적은 ‘여기’ 있기 때문입니다. 선생님은 ‘여기’ 계시지 않지만, 대신 ‘거기’ 계실 것이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이건 비단 저만의 사정은 아닐 겁니다.
그래도 뵙고 싶은 마음만큼은 어쩌질 못하여, 선생님께서 이곳에 계실 때 남기신 말씀을 한데 묶었습니다. 그동안 선생님의 후배 문인들이나 문학평론가들이 선생님을 찾아뵙고 나눈 대화의 결과는 참 많았습니다. 그 많은 기록 중에서 우리는, 서강대학교 국문과 김승희 교수, 서울문화재단 조선희 대표이사, 장석남 시인, 최재봉 한겨레 선임기자, 김연수 소설가, 정이현 소설가, 씨네21 김혜리 편집위원, 신형철 문학평론가, 박혜경 문학평론가, 이렇게 9명이 진행했던 대담을 추렸고, 5주기에 부치는 이병률 시인의 새 글을 보태었습니다.
그리하여, 1980년부터 2010년까지, 박완서 선생님의 30년이 여기에 모였습니다. 1980년이면 『나목』으로 문단에 데뷔하신 지 정확히 10년이 지났을 때이고, 2010년이면 영면에 드시기 꼭 한 해 전입니다. 그 짧지 않은 세월 동안 박완서 선생님은, 첫째 따님께서 이 대담집을 엮으며 하셨던 말씀처럼 ‘변함이 없었지만 지루하지 않았고, 끊임없이 변화했지만 요란하지 않’(7쪽)은 모습이셨습니다. 거기에 5주기에 헌정하는 글까지 보태어졌으니, 이 한 권의 책만으로도 선생님을 우리 역시 여러 번 만나고 온 것에 다름이 아닐 겁니다.
박완서 선생님은 6.25를 몸소 겪어내고 또 그 이후 가족을 잃는 상처와 아픔을 딛고 『미망』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미망』을 비롯하여 수많은 작품을 탄생시켰음을 모르는 바 아닙니다. 그 엄숙하고 거룩함이야 거듭 말해 무엇할까요. 다만 이번 대담집을 통해, 다소 생경하지만 아름다운 우리말 어휘의 사용(135쪽), 어디 하나 걸림이 없이 매끈하게 읽히는 문장의 맛(137쪽), 결핍감으로부터 생겨난 문학적 상상력(191쪽) 등 소설의 깊숙한 부분에 대해 육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그뿐 아닙니다. 새로 개봉하는 영화를 찾아서 보거나(138쪽) 손녀딸을 얼러 재우며(31쪽), 또 무작정 집 앞을 찾아온 독자마저도 살뜰히 챙기고(119쪽), 살구를 따다 잼을 만들어 주변에 나누는(207쪽) 등 소소한 일상의 모습까지 모두 고스란히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선생님은, 사람다움을 짓밟는 힘에 맞서 갖춰야 할 부끄러움과 오기(21쪽), 여성으로서 느껴야 할 한계는 없다는 선구자적인 생각(26쪽), 그러면서도 집안일과 소설 쓰기를 잘 병행하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 것에 대한 불편한 지적(134쪽), 늘 새로운 것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대하는 태도(43쪽), 세대를 넘나들어 모든 동시대인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마음(166쪽) 등을 이야기함으로써, 우리에게 선생님이라는 인생의 나침반이 계시다는 기쁨과 동시에 어머니처럼 포근하게 감싸안아주는 위로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는 선생님을 흔히 ‘한국문학의 어머니’라 부르기도 하지만, 그런 선생님의 어머니 역시 훌륭하신 분이셨을 것임이 틀림없습니다. 다른 아낙들의 연애편지를 대필해주실 정도로 이야기를 좋아하며 따뜻한 휴머니즘이 있고(82쪽), 강인하고 현명하셨던(209쪽) 선생님의 어머니. 이를 통해 선생님 또한 한 가정에서도 얼마나 훌륭한 어머니였을지는 얼핏이나마 짐작하고도 남습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선생님과 우리는 동시대를 통과했기도 하고 아니기도 합니다. 적지 않은 시간을 함께 지나왔지만, 가늠조차 할 수 없는 커다란 역사를 선생님은 통과했으며, 작금의 어지러운 속도의 세상에 우리는 선생님 없이 당도해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당대를 똑똑히 바라보고 기록하고 작은 실바람을 만들어내셨던 것처럼, 우리도 더 눈을 똥그랗게 뜨고 우리에게 주어진 당대를 또 열심히 바라보아야겠습니다. 그것이 선생님과 우리가 떨어져 있는, ‘여기’와 ‘거기’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길이라 믿기 때문입니다.
제목 『우리가 참 아끼던 사람』에서 말하는 ‘우리’는 이들 10명의 필진이기도 하지만, 선생님을 기억하고 추억하는 모두이기도 합니다. 선생님께서 생전에 종종 말씀하셨던 “죽는 날까지 현역 작가로 남고 싶다”는 소망을 자주 기억합니다. 선생님의 소설은 곧 선생님이어서, 이 한마디가 이토록 가슴에 맺혀 있습니다. 선생님이 ‘거기’로 건너가신 지 5년이 되었지만, 감히 말씀드리건대 선생님은 영원한 현역 작가입니다. 선생님을 향해, 제가 가진 두 개의 엄지를 모두 치켜올려보고 싶어요. 오늘만큼은요.
박완서
1931년 경기도 개풍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대 국문과 재학중 한국전쟁을 겪고 학업을 중단했다. 1970년 불혹의 나이에 『나목裸木』으로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에 당선되어 문단에 나온 이래 2011년 영면에 들기까지 40여 년간 수많은 걸작들을 선보였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배반의 여름』 『엄마의 말뚝』 『미망』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친절한 복희씨』 『기나긴 하루』 등 다수의 작품이 있으며, 한국문학작가상, 이상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이산문학상, 중앙문화대상, 현대문학상, 동인문학상, 한무숙문학상, 대산문학상, 만해문학상, 인촌상, 황순원문학상, 호암상 등을 수상했다. 2006년 서울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1월 22일 별세한 후 문학적 업적을 기려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