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고사성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고사성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08/17

이심전심(以心傳心)

以:써 이. 心:마음 심. 傳:전할 전. 心:마음 심. [동의어] 염화미소(拈華微笑).  [유사어]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출전]《五燈會元》〈傳燈錄〉,《無門關》,《六祖壇經》  마음에서 마음으로 뜻이 통한다는 말.  송(宋)나라의 중 도언(道彦)이 석가 이후 고승들의 법어(法語)를 기록한《전등록(傳燈錄)》에서 보면 석가가 제자인 가섭(迦葉)에게 말이나 글이 아니라 ‘이심전심’의 방법으로 불교의 진수(眞髓)를 전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에 대해 송나라의...

2015/08/09

살신성인(殺身成仁)

 殺 : 죽일 살 身 : 몸 신 成 : 이룰 성 仁 : 어질 인 [출전] : 《論語》〈衛靈公篇〉 몸을 죽여 어진 일을 이룬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 또는 대의를 위해 목숨을 버린다는 말. 이 말은 춘추 시대, 인(仁)을 이상의 도덕으로 삼는 공자(孔子)의 언행을 수록한《논어(論語)》〈위령공편(衛靈公篇)〉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志士仁人 높은 뜻을 지닌 선비와 어진 사람은 無求生以害仁 삶을 구하여 ‘인’을 저버리지 않으며 有殺身以成仁 스스로 몸을 죽여서 ‘인’을 이룬다.   공자 사상의 중심을 이루는 ‘인’의 도는 제자인 증자(曾子)가《논어(論語)》〈이인편(里仁篇)〉에서...

2015/08/05

명경지수(明鏡止水)

명경지수(明鏡止水) 맑을 거울과 조용한 물이라는 뜻으로,  티없이 맑고 고요한 심경을 이르는 말. 明:밝을 명. 鏡:거울 경. 止:그칠 지. 水:물 수. [출전]《莊子》〈德充符篇〉 《장자(莊子)》〈덕충부편(德充符篇)〉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춘추 시대, 노(魯)나라에 왕태(王駘)라는 학덕이 높은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유교의 비조(鼻祖)인 공자와 맞먹을 만큼 많은 제자들은 가르치고 있었다.  그래서 공자의 제자인 상계(常季)는 불만스럽다는 듯이 공자에게 물었다. “선생님, 저 올자(兀者)는 어째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흠모를 받고 있는 것입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그것은 그분의 마음이 조용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거울 대신...